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케팅] 4P, 4C 개념과 적용사례

by 꽁냥맘 2021. 12. 15.
반응형

마케팅 전략을 세울때에 중요하게 보는것이 4p 입니다. 4p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전략을 내세우는 것을 4p mix 라고도 합니다. 4 p는 즉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촉진(Promotion),을 의미합니다. 

 

책에 나와있거나, 학술적으로 쓰이는 용어나 의미들은 다양하지만 제 나름대로 해석하여 이해하기 쉽게 개념을 정의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4P의 개념 

제품(Product) - 기업이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 서비스 / 어떤 제품을 생산할 것인가?

가격(Price) - 소비자에게 판매하고자하는,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비용 / 제품의 가격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유통(Place) - 제품이나 서비스가 소비자에게 도달하게 하는 과정 / 어떻게 제품을 생산해서, 소비자에게 보여지도록 할것인가?

촉진(Promotion) - 많은 소비자에게 알리기 위한 활동 / 판매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이 관점에서 생산자가 어떻게 전략을 세우느냐에 따라서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 컨셉, 또는 유통과정에서 큰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4p 전략은 저는 브랜드 마케팅 전략안을 작성하면서 생각해본 적 있습니다. 제가 작성했던 4p에 대한 내용을 사례로 들어보겠습니다.

 

어떻게 경쟁사 대비해서 효율적으로 마케팅을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작성했던 전략안중 일부 4p에 대해 작성했던 내용들을 대략적으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4P 전략 사례

1) 제품(Product) - 기업이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 서비스 / 어떤 제품을 생산할 것인가?

 - 신제품출시 ( 신규서비스에 APP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아, 서비스에 APP 서비스를 추가 할 것을 제안)

 - 콘텐츠 다각화 ( 제휴되어 있는 기존 서비스에 추가적으로 제휴 업체 수를 늘려 ,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의 양과 질을 확대)

 - 기존 상품 온라인화 (코로나 이슈로 인하여, 오프라인전용 체험 상품을 온라인화 할 수 있도록 제안) 

 

2) 가격(Price) - 소비자에게 판매하고자하는,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비용 / 제품의 가격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 상품을 이용하면서 합리적이라고 느낄 수 있는 수준으로 가격을 조정 

  경쟁사 상품, 서비스와 자사 상품, 서비스를 객관적으로 비교하여 시장가격에서 저렴한 가격대로 선정

  가성비가 좋아보이도록 설정

 

3) 유통(Place) - 제품이나 서비스가 소비자에게 도달하게 하는 과정 / 어떻게 제품을 생산해서, 소비자에게 보여지도록 할것인가?

- 온라인 유입경로 체크, 사이트 개선 

   서비스를 알리기 위해 모바일, 웹페이지 UI/UX 개선 시급

   서비스의 내용을 담은 랜딩페이지 신규제작

 

4) 촉진(Promotion) - 많은 소비자에게 알리기 위한 활동 / 판매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 광고 소재 및 채널 점검, 채널별 운영정책 수립하여 광고성과 개선

- 타겟이 주로 활동하는 SNS 위주로 컨텐츠 생산 및 배포

- 영상소재 신규 제작, 다양한 이벤트 진행 

 

상세한 내용은 공개할 수 없지만, 사례를 들면 대략 이런식으로 작성했고 고민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회사마다 제품과 서비스는 다르지만 전략을 세우는 방법은 비슷할 것 같습니다. 

 

4C의 개념

앞서 말한4p 가 생산자 입장에서 어떻게 마케팅을 할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라면, C로 바꾸어 소비자 입장에서 시장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한것이 4C 라고 할 수 있습니다. 

 

c는 소비자 입장 (시장관점)

4P와 매칭되는 개념으로, 이해 하면 되겠습니다. 

 

product - coustomer value 고객가치 

- 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할 것인가? 서비스, 제품에 대한 만족을 어떻게 느끼게 할것인가?

 

price - costomer cost 구매비용

- 소비자의 입장에서 가격지불이 합리적인가? / 가성비가 좋은가?

 

promotion - communication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 고객의 의견이 반영되었는가?  / 고객과의 소통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

 

place- convenience 고객편의성

- 고객의 입장에서 편리한가? 제품, 서비스를 이용하는데에 불편함이 없는가?

 

고객입장에서 4P를 바라보면서 다시한번 생각해본다면 더 좋은 서비스와 마케팅전략이 나올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AI 와 같은 시스템의 도입으로 소비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나 상품을 제공하는것이 중요해졌습니다. 4P가 생산자 입장에서 전략을 구사한 것이라면, 4C는 고객의 입장에서 얻을수 있는 이득, 고객관점에서 생각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두가지를 모두 생각해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앞서 말한 4P 사례를 4C 전략으로 매칭시켜 본다면, 

 

1) 제품(Product) - coustomer value 고객가치 

 - 신제품출시 -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신제품 출시

 - 콘텐츠 다각화 - 더 다양한 콘텐츠로 고객의 선택의 폭을 넓힘

 - 기존 상품 온라인화 - 코로나로 인한 온라인 수요급증, 온라인 전용 상품 출시

 

2) 가격(Price) - costomer cost 구매비용

- 가성비, 저렴 - 경쟁사 대비 10% 이상 저렴, 할인 이벤트도 진행 

 

3) 유통(Place) - convenience 고객편의성

- 온라인 유입경로 체크, 사이트 개선 - 고객이 쉽게 찾아올 수 있도록 온라인 사이트, 유입경로 최적화

  서비스를 알리기 위해 모바일, 웹페이지 UI/UX 개선 시급 - 사이트에 들어왔을때 주력 서비스, 상품이 눈에 띄도록

  서비스의 내용을 담은 랜딩페이지 신규제작- 사이트에 들어왔을때 어떤 서비스, 상품인지 확실하게인지

 

4) 촉진(Promotion) - communication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 광고 소재 및 채널 점검, 채널별 운영정책 수립하여 광고성과 개선 - 고객이 주로사용하는 커뮤니티에서 소통

- 타겟이 주로 활동하는 SNS 위주로 컨텐츠 생산 및 배포 - 고객이 사용하는 SNS 채널 활용

- 영상소재 신규 제작, 다양한 이벤트 진행 

 

매칭을 해서 정리해보자면 위와 같습니다. 4C에대한 부분도 생각을해서 4P MIX 전략을 세우는것이 현명할 것 같습니다. 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