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케팅] GTM, 구글 태그관리자 활용하기

by 꽁냥맘 2021. 12. 16.
반응형

GTM은 구글 태그 매니저의 약자 입니다. 구글 어낼리틱스에서 수집하는 지표들은 태그를 바탕으로 합니다. 태그를 바탕으로 수집을 하다보니, 마케터로써는 수집하고싶은 데이터가 있을때에 개발자의 도움을 받는것이 일반적입니다. 개발자의 도움으로 일일히 일을 수행하다보면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까지 과정이 쉽지 않습니다. 이에,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유용한 도구가 구글태그관리자 입니다. 

 

구글태그관리자를 사용하면 개발자 도움없이, 태그를 생성하고 반영하여 GA에 데이터를 불러오도록 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어도, 설정만으로도 태그가 생성되며, 생성된 태그를 GA에 반영하면 데이터가 불러와지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저도 이 태그관리자를 활용해서 사이트 배너 위치마다의 클릭수라던지, 페이지의 액션을 취하는 (버튼을 누르는) 수와 같은 특정 이벤트에 잘 활용하여 체크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구글 태그관리자에 가입을 하고, 구글 태그관리자를 설치 해야합니다. 구글 태그관리자의 태그를 1번만 사이트에 삽입하면 그 이후에는 태그관리자에서 자유롭게 태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태그를 생성할때 세가지 주요한 개념이 있습니다. 태그, 변수, 트리거 인데요. 

태그

구글 태그 관리자에서 실행하는 HTML코드 값 

 

변수

태그나 트리거에서 사용하는 문자를 저장 (로딩된 페이지의 URL, 클릭한 링크의 URL)

 

트리거

태그가 실행되는 조건 (페이지가 로딩되도록 하는 조건, 클릭을 하도록 만드는 조건)

 

변수와 트리거를 설정하면 태그값이 나오고, 해당태그가 실행되면서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구글 계정에는 컨테이너와 사이트의 개념이 있는데, 컨테이너가 조금더 상위개념입니다. 컨테이너 1개에 사이트를 여러개 추가하여 각각 사이트마다 태그를 만들어서 관리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작업공간, 버전의 개념은 작업공간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이것이 버전 1인지 2인지 저장할수 있고 이에맞게 비교해보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변수 설정방법이나 트리거에 대한 내용은 저는 여러 책이나 강의를 통해서 익혔습니다. 각 측정하고자 하는 값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르지만, 중요한것은 개념만 잘 인지하면 됩니다. 

트리거 - 조건 , 변수 - 트리거가 실행시 측정되는 값  이 두가지만 생각하고 설정한 후, 미리보기 모드에서 태그를 검정해보면서 조금씩 바꾸어 봐야합니다. 

 

미리보기를 통해 충분히 태그 실행여부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로 실행하였을때 화면이 실제로 태그가 실행되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여주기 때문에, 내가 측정하고자 하는 값으로 잘 움직이는지 체크하여 태그를 반영하면 됩니다. 변수를 바꾸어보면 실행되는것이 바뀌게 됩니다. 미리보기를 활용하면 스스로 체크해볼 수 있으니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